목차
지난 번에 "파킹통장 금리비교"의 글을 남긴 적이 있습니다. 파킹통장은 하루만 맡겨도 이자가 붙는 일복리 효과를 누릴 수 있는 통장이라고 소개해드렸습니다. 소개하면서 인터넷 3사와 저축은행 3사의 금리비교도 해드렸습니다. 이번에는 인터넷 3사 중에 하나를 손꼽아 간단히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제가 소개해드릴 파킹통장은 '카카오뱅크'에서 가입가능한 상품입니다. 저에게는 '파킹통장'이라는 상품을 처음 알게 해준 곳입니다. 그러다보니 가장 먼저 추천하고 소개해드리게 되었네요. 지난 글보다 더 자세하게 안내해드리겠습니다. 아래 글에서 확인해주세요.
파킹통장을 가입할 수 있는 대표적인 인터넷 3사와 저축은행 3사의 금리비교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 중에서 카카오뱅크에서 가입이 가능한 "세이프박스"는 아래 글에서 더 자세히 확인이 가능합니다.
파킹통장 인터넷은행 추천 카카오뱅크 "세이프박스"
01. 카뱅 파킹 통장 "세이프 박스"
카카오 뱅크에서 여유 자금을 모을 수 있는 파킹 통장 이름이 세이프 박스입니다. 입출금 통장, 개인 사업자 통장 등 가지고 있는 계좌마다 하나씩 세이프 박스를 만들어서 간편하게 돈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 가입 대상: 카카오뱅크의 입출금 통장 또는 개인 사업자 통장을 보유한 실명의 개인
- 가입 제한: 입출금통장 또는 개인 사업자 통장만 가능. 연결된 계좌당 한 개씩만 가능
- 최소 가입금액: 0원 이상
- 입금 기본 한도: 1천만원
- 증액 한도: 1억원
- 입금 방법:
- 예금자 보호: 원금과 이자를 합하여 1인당 '5천만원'까지만 보호가능
02. 세이프 박스 시작하기
본인이 보유하고 있는 계좌 중, 연결 가능한 계좌가 화면에 보여줄 것입니다. 화면에 보여준 계좌 중, 하나를 선택하면 됩니다.
보관 금액에 0원이라고 되어 있는데. 0원으로 그냥 두셔도 괜찮습니다. 파킹통장은 0원부터 설정해도 괜찮습니다. 그러나 이자를 받으려면, 적은 금액이라도 보관하시는 걸 추천하고 싶네요.
0원 금액 아래에 (넣기 / 빼기)는 말 그대로 돈을 넣고 빼기를 말합니다. 즉, 입출금을 의미합니다.
화면 오른 쪽, 슬라이더를 올리면 금액이 나옵니다. 그 상태로 넣기 빼기도 가능하나, 정확한 금액을 맞추기 어려우니 넣기 혹은 빼기를 누르시고, 숫자를 적으시는 것이 더 편합니다.
본인 통장 안에 '세이프 박스'가 포함되어 있는 이미지가 확인된다면, 세이프 박스가 연결이 된 것입니다.
03. 세이프 박스 이자 금리
적용 금리는 연 2.40%입니다. 파킹 통장을 여러개 비교했을 때 , 높지도 낮지도 않은 평균 금리였습니다.
[6월 18일 기준으로 연 2.20%로 금리가 인하되었습니다.]
이자 지급은, 한달에 한 번 받을 수 있으며, 매일 들어가서 이자를 바로 받을 수 있습니다.
"이자 바로 받기"는 매일 들어가서 눌러줘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나 세이프 박스에 넣어둔 금액이 적지 않다면 하루 받은 이자로 원금과 합쳐져서 다음날 더 높은 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세이프 박스에 100만원을 넣어둔 상태로 1년간 매일 이자를 받아왔다면, 매일 65원씩 받으며, 총 24,100원 정도 받을 수 있습니다. 한 달에 한번 받을 때 보다 3,661원 더 받을 수 있습니다. 1.2배 이득입니다.
168만원을 넣어둔다면, 매일 이자가 100원씩 붙습니다. 매일 눌러주면서, 100원씩 앱테크하는 느낌으로 즐겁게 해보셔도 좋을 것 같아요.
파킹 통장 중에 대표적으로 많이 이용하는 세이프 박스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요즘은 장기적으로 예금 보관하는 상품은 인기가 시들한 편입니다. 그래서 은행에서도 6개월 단위로 짧게 보관하는 상품들을 종종 찾아볼 수 있습니다. 그런 면으로 바라봤을 때 파킹 통장은 요즘 시기에 잘 어울리는 상품인 것 같습니다. 사용하다가 소비를 조금이라도 줄이고 싶은 마음에 세이프박스로 묶어두어도 괜찮고, 또 반면에 급전이 필요했을 때 빼내기도 편하니 말입니다. 입출금 통장이 여러개라면, 다량으로 만들어 활용을 하시면 일복리 이자로 앱테크를 하다보면, 며칠안에 커피 한잔 가격이 나오지 않을까요?
'정보 >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시 꿈나래 통장 신청자격 확인하고 지원받으세요 (0) | 2023.06.16 |
---|---|
주택 연금 가입 조건 예상 수령액 계산하기 (2) | 2023.06.15 |
개인 연금 저축이란 세금 공제 혜택받고 노후자금 준비하기 (0) | 2023.06.13 |
분리수거로 돈 벌기 2가지 방법 비교 (0) | 2023.06.12 |
자동차세 납부기간 조회 및 연납신청으로 절세하기 (0) | 2023.06.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