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금융

개인 연금 저축이란 세금 공제 혜택받고 노후자금 준비하기

by 만달 2023. 6. 13.

목차

    개인연금은 노후대비 즉 우리가 앞으로 살아갈 미래를 위한 준비과정 중에 하나입니다. 국민 연금도 포함이 되지만, 대다수 어른들이 말씀하시길, 국민 연금하나로는 노후 자금을 충분히 준비하지 못한다고 합니다. 어릴 때부터 하나라도 더 들어 노후준비를 철저히 하라고 하십니다.하지만, 또 필수적인 요소는 아니어서 고민이 되기도 합니다. 은행,증권사에 개인연금 저축에 관련된 상품을 다양하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 개인 연금저축의 종류부터 장 단점 비교와 꼭 들어야하는 지까지 총정리를 해보았습니다. 

     

     

     


     

    개인 연금 저축 

     


     

     

     

     

     

    01.  개인 연금 저축이란

     

    국민 연금과 같은 국가에서 운영하는 연금 상품 외에 개인적으로 가입하는 연금이 바로 개인 연금입니다.

    연금 저축은 여유로운 노후생활을 위해 미리부터 준비하는 개인 연금의 한 종류입니다. 이름이 연금 저축이다 보니 납입할 때에는 세액공제 혜택을 받으며, 연금을 수령할 때는 낮은 연금 소득세가 적용되는 장기 저축 상품입니다. 

     

     

     

     

     

     

    02. 개인 연금 저축의 종류 

     

     

    개인 연금 저축 신탁과 펀드와 보험으로 나뉩니다. 은행에서 가입하는 경우에는, 연금 저축 신탁이며 증권사일 경우에는 연금 저축 펀드 이며, 보험사를 통한 가입은 연금 저축 보험입니다.

     

     

      납입 방법 보장 내용 상품 종류
    연금 저축 신탁 자유 납입 원금 보장 /  예금자 보호 채권형 / 주식형 
    연금 저축 펀드 자유 납입 원금 보장X  / 예금자 보호 X 채권형 / 혼합형 / 안정형 
    연금 저축 보험 정기 납입 원금 보장 / 예금자 보호  금리 연동형 (단일)

     

     

    연금 저축 신탁은, 자유 납입이 가능하며 원금이 보장되고 예금자 보호가 되는 상품입니다.  투자 실적으로 배당을 받으며 상품의 금리가 결정됩니다. 채권형 상품과 주식형 상품으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연금 저축 펀드 또한 자유 납입 형식이지만, 원금은 손실의 위험도가 있으며, 예금자 보호 또한 되지 않습니다. 채권형, 혼합형, 안정형으로 나뉩니다. 혼합형은 채권과 주식을 합친 상품입니다.  펀드를 원하시는 분들 중에 그나마 안정적인 상품을 원하신다면, '채권형 펀드'를 추천해드리고 싶습니다. 

     

    연금 저축 보험은, 정기적으로 납입을 해야하는 상품이며 원금도 보장이 되고 예금자 보호도 가능합니다. 상품은 금리 연동형으로 단일 상품입니다.  연금 수령기간을 종신형으로 설정한다면 장기적인 노후 대비를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다른 종류들 보다 장기간에 걸쳐 운영해야 해서 수익률이 낮은 편입니다. 

     

     

     

     

     

     

     

     

     

    03. 개인 연금 저축은 납입 시 세금 공제를  받을 수 있어요. 

     

     

    연금 저축은 세금 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몇가지 기준이 있습니다.

     

     

    (1) 한도는 600만원까지 입니다.[2023년부터]

    만약 퇴직 연금계좌(IRP)에도 돈을 넣은 상태라면, 토탈 900만원까지만 세금 공제가 됩니다.

    연금 저축계좌만은 600만원까지만 공제혜택 대상입니다.

     

     

     

    (2) 소득에 따라 공제율이 다릅니다.

    총 급여 종합 소득 금액 세액 공제 대상 납입한도 공제율  최대 세액 공제액
    5,500만원 이하 4,500만원 이하 600만원 16.5% 99만원
    5,500만원 초과 4,500만원 초과   13.2% 79만 2천원
    • 총 급여가 5,500만원이하 (종합소득금액 4,500만원)일 경우, 저축한 돈의 16.5%를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 총 급여가 5,500만원 초과(종합 소득금액 4,500만원)일 경우, 저축한 돈의 13.2%를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3) 연 1,800만원까지 저축가능

     

     

     

     

     

     

     

     

    04. 연금저축의 장점과 단점 

     

     

     

    장점. 세액 공제 

     

    연금 저축의 가장 큰 장점입니다. 총 급여의 조건에 따라 5천500만원 이하일 경우 최대 600만원 한도 내에 16.5% 공제혜택을 받습니다

    최대 99만원의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장점. 이자소득에 따른 세금을 내지 않는다 

     

    일반 금융 상품은 이자 소득에 따라 세금을 냅니다. 하지만 연금 저축은 연금 수령 때까지 세금을 내지 않습니다.

     

     

    장점. 절세 

     

    가입하고 5년 이상 꾸준히 납입하고 있다면, 만 55세부터 10년 이상 연금으로 수령하면 낮은 세율이 적용되어 절세가 가능합니다. 연금 저축에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소득세율 15.4%보다 낮은 연금 소득세율 (3.3~5.5%)을 적용하게 됩니다. 연금 소득세율은 나이가 많은 수록 낮아지기 때문에, 수령을 미룬다면 세금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이건 그 때 상황에 따라 조절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단점. 중도 해지에 따른 불 이익 

     

    연금 저축을 중도 해지할 경우, 그동안 공제 받았던 금액과 비과세 이자 수익에 기타 소득세(16.5%)를 부과 합니다. 

     

     

     

     

     

    04. 개인 연금 저축을 들어야하는 이유

     

     

    위에서 언급했다시피 어른들은 노후 자금으로 국민 연금을 제외한 개인연금 등을 여러 개 가입해두라고 합니다. 수명이 점차 늘면서 이제는 100세 시대라고들 말합니다. 하지만 우리가 회사를 다닐 수 있는 시기는 절반 정도 50대에서 길어야 60대까지 다닐 수 있는 게 전부입니다. 하지만 은퇴하고 수입원이 없다보니 그동안 모아 둔 돈이 없다면, 매일 나가는 생활비가 부담이 될 것 입니다. 그러다보니 개인 연금은 소득 요건이 된다면 들어두는 편이 좋다고 합니다. 

     

     

    요근래에 1인당 노후 자금이 필요한 돈이 한달에 최소 155만원에서 228만원 정도라고 합니다. 적어도 한달에 200만원 정도는 연금이 나오도록 지금부터 준비해야 합니다. 하지만 200만원이라는 돈은, 현시대에 1인이 필요한 금액입니다. 우리가 나이가 든다면 최소 30년이상인데 200만원보다는 더 많은 돈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20대 초반부터 개인 연금, 국민 연금 들라는 이야기들을 많이 들었지만, 꾸준히 몇십만원을 낼 자신이 없어 시도조차 하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어느덧 미래, 노후 생각에 급급한 요즘은 여러 상품들을 관심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다음에 '연금저축'에 대한 글을 또 남긴다면, 다양한 상품 또한 소개해보려고 합니다. 지금 생각하는 우리의 미래는 여유롭고 풍요로울 것 같지만, 어디까지나 미래이기 때문에 우린 알 수 없습니다. 어떻게 될지 모르는 미래를 위해 조금이나마 벌고 있는 지금 차근차근 준비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소득이 생기면, 국민 연금에서 가장 먼저 연락이 오죠. 개인 연금과 같이 노후 대비에 가장 필수인 국민연금에 대한 글도 남겨 보았으니 '개인 연금저축'에 대한 글이 마음에 드셨다면, 같이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320x100

    댓글